WEB/WEB STANDARDS

웹 표준 간단한 정리

Tree_Park 2021. 3. 4. 10:50
728x90

목차

    웹표준 장점

    - 소스의 통일화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

    - 다양한 브라우저, 여러 디바이스에서도 대응가능하여 접근성 향상

    - CSS, HTML 분리되어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시간 단축, 불필요한 마크업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 향상

    -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컨텐츠가 적절하게 표시 호환성과 운영성 확보

    - 검색봇을 통한 효율적 노출과 같은 검색엔진 최적화 가능



    웹 표준 기술

    •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aguage)
    • CSS(Cascading Style Sheets)
    • XML(eXtensible Markup Langauage)
    • DOM(Document Object Model)
    • ECMAScript : ECMA international 의 ECMA-262 기술 명세에 정의된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웹표준 스탠타드 Standards - W3C

     

    Web Design And Application

    1. HTML & CSS

    HTML로 문서작성하기

    Structure of HTML webapges

    [이미지출처]웹표준 디자인 강좌 02 - HTML5 기본 - my Project’s Note (yongbeomkim.github.io)

    Outline

     

    1. section : Commnly Used, Outline을 잡은 뒤 적절한 요소로 변경
    2. article : 단독으로 RSS 전송 가능한 independable section
    3. aside : 메인과는 관련성이 적은 보충적인 콘텐츠를 구분하는섹션
    4. nav : 네비게이션을 구분하는 섹션
    5. header : 섹션의 Header 요소
    6. main : 메인 content
    7. footer : 섹션의 footer
    8. figure, figcaption : 참조예제 및 소스 캡션을 나타내는 요소

    Classification of Model and Element

     

    1. Block : 표제, 단락, 항목, 표 등의 문서의 골조를 구성하는 요소 군
    2. Inline: 내용물이 되는 콘텐츠에 의미를 부여하는 용도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취급)

     

    a, href, url

     

    1. a href="{url}" : url 주소
    2. a href="{#id}" : 링크 연결 id
    3. a href="mailto:email@hostname"



    CSS 문서 작성하기

    상대단위 설명
    px 모니터 화소(1픽셀)기준
    % % 상대비율을 지정
    em 부묘오소 대문자 기준 상대크기

     

    절대단위 설명
    pt 포인터를 1로 하는 단위
    pc 파이카를 1로 하는 단위
    mm 밀리미터 기준 단위
    cm 센티미터 기준 단위
    in 인치(inch) 기준 단위

     

    가상클래스

    선택자 의미
    :link 미 방문 링크
    visited 방문을 마친 링크
    :hover 마우스 포인터를 올릴 때
    :active 요소가 활동중일 때
    :focus 요소에 초점맞출 때
    :first-child 요소의 첫 자식 요소

     

    속성들의 우선순위

    1. style : standard < maker < user
    2. selector : type < class< id
    3. writing location : externel css < internel css < inline css
    4. writing order : front loc < back loc
    5. !important : 위의 순서들을 무시하고 최우선적 설정

     

    inline

    1. float : left/ right, (inline 객체로써 내부에 객체를 정렬)
    2. clear: :both , 단 속성을 해제하고, 새로운 단을 생성
    3. clear fix의 적용은 (tag:after) 가상객체를 활용하면 유용하다.



    Kinds of Layout

    1. Fixed Layout : 고정값으로 너비 지정
    2. Liquid Layout : 퍼센트 비율로 너비 지정
    3. Flexible Layout : 1,2번의 장점을 활용하여 레이아웃을 구성
    4. Responsible Layout : 폭 사이즈에 맞춰서 유연하게 조정
    5. Adaptive Layout : 특정 디바이스를 예상하여 고정 레이아웃 조합을 구성 (@media)